내란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윤석열 전
내란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윤석열 전 대통령 2차 소환조사에서 외환 의혹을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의혹의 핵심은 비상계엄 선포 요건인 국가비상사태를 조성하려고 북한에 무인기를 보내거나 오물풍선 원점 타격 검토 등 북한의 도발을 유도했는지다. 특검팀은 외환 혐의와 관련해 윤 전 대통령의 ‘일반 이적’ 혐의, ‘직권남용’ 혐의 등도 함께 들여다보고 있다. 피의자 신분으로 내란 특검 조사를 받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29일 서초구 서울고검 청사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 외환 의혹 군 지휘관 추가 구속…‘노상원 수첩’ 규명 대상 30일 법조계에서는 특검팀이 외환 의혹 관련 윤 전 대통령의 ‘지시 연결고리’를 집중 수사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국군통수권자인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국방부 장관, 군부대까지 이어지는 지휘 체계 전체가 조사 대상이라는 것이다. 특검팀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추가 구속하고, 군검찰과 협조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을 추가 구속한 것도 외환 수사의 일환이라는 분석이다. ‘계엄 비선’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 대해 추가 구속영장 발부를 요청한 것 역시 마찬가지다. 무인기 평양 침투, 오물풍선 원점 타격 등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해 9월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을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한 뒤 벌어진 일이다. 앞서 북한 외무성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한국이 10월 3일, 9일, 10일 심야시간을 노려 무인기를 평양 상공에 침범시켜 삐라(대북 전단지)를 살포했다”고 밝혔다. 국방부 국방과학연구소는 국회에 제출한 ‘북 전단 무인기 비교분석’ 보고서에서 “북한이 공개한 무인기와 우리군 드론작전사령부(드작사)에 납품한 무인기의 전체적인 형상이 매우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노상원 수첩’의 경우 ‘NLL(북방한계선)에서 북한 공격 유도’ 등 이른바 ‘북풍’ 준비 정황이 담겨 있어 실체 규명이 필요하다. 노 전 사령관이 정보사 비선 조직을 활용해 북한을 자극해 대남 도발을 유도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봉규 전 정보사 대령의 “(노씨가) 북한 오물풍선 얘기를 시작했다. 언론에 특별 보도가 날 거라 했다”는 경찰 진술 등도 특검으로 송부됐다. 특검팀 관계자는 “언론에 보도된 부분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해 주는 5월 14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오른쪽)가 지켜보는 가운데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시간) 시리아에 대한 제재 대부분을 해제했다. 이로써 시리아는 지난 14년에 걸친 내전으로 초토화된 경제를 재건할 기회가 열렸다. 걸프 국가들도 시리아와의 협력 국면으로 빠르게 전환하며 투자 준비에 나서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 로이터통신,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시리아에 대한 제재 프로그램을 해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방문 당시 시리아에 대한 제재 해제 계획을 처음 밝힌 바 있다.이번 제재 해제는 지난해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축출하고 과도 정부를 수립한 아흐메드 알 샤라 대통령에 대한 신뢰의 표시라고 FT는 짚었다. 이슬람 반군 조직인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의 총사령관 출신인 샤라 대통령은 50년간의 왕조 통치에 마침표를 찍고 온건한 개혁노선을 추구하고 있다. 중동 순방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샤라 대통령과 만나 "강인한 사람"이자 "강한 과거를 거진 투사"라고 묘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월 13일(현지시간) 시리아에 대한 제재를 해제하기로 하자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오메이야드 광장에 시리아인들이 모여들어 기뻐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샤라 정권으로 교체되면서 시리아는 이란의 입김이 급속히 약해졌고 이란-이스라엘의 '12일 전쟁'으로 중동 내 힘의 균형도 불과 몇 년 만에 극적으로 바뀌었다. 시리아는 2011년부터 10년 이상 장기 내전으로 이어진 '아랍의 봄' 봉기를 진압하는 데 이란의 군사 지원을 받았고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을 거쳐 지중해까지 이어지는 이란의 이른바 '초승달 영향력' 지역에 포함돼있었다. 아사드 정권 하에서 12일 전쟁이 발생했다면 시리아는 이란이 지원하는 이스라엘 공격의 전초기지가 됐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하지만 샤라 정부는 이란과 이스라엘 간 분쟁에 개입하지
내란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윤석열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