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1-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1985년부터 페루·미국 오가며 복음 전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5-09 19:30

    본문

    1985년부터 페루·미국 오가며 복음 전파이탈리아어·프랑스어 등 5개 언어 유창임신중지·안락사 반대 등 정통 가톨릭 입장레오 14세 신임 교황이 8일(현지시간) 선출 직후 바티칸 성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AP연합뉴스8일(현지시간) 선출된 교황 레오 14세는 전임자인 프란치스코 교황처럼 ‘낮은 곳’을 자주 찾으며 성직 생활을 했다. ‘최초 북미 출신 교황’이라는 기록을 남기게 된 그는 20년 넘도록 남미 페루의 슬럼가, 오지 등에서 로마 가톨릭 복음을 전파했다.교황은 가톨릭의 한 조직인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아우구스티노회) 출신이다. 아우구스티노회는 4세기 북아프리카 히포의 주교였던 성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을 근본으로 여긴다. 그는 아우구스티노회 총장(2001~2013년)과 페루 치클라요 주교(2015~2023), 바티칸 주교성 장관(2023~2025) 등을 역임했다.교황은 1955년 9월14일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한 병원에서 태어났다. 교육자 아버지와 사서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아우구스티노 신학교에서 중등교육을 받았다. 학부에서 수학을 전공한 뒤 미국에서 가장 큰 가톨릭 신학대학원인 가톨릭신학연합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27세 때 사제 서품을 받았다.페루와의 인연은 1985년 그가 서부 피우라의 소도시 훌루카나스에 선교사로 파견되면서 시작됐다. 이후 2023년까지 페루와 미국을 오갔다. 2015년 프란치스코 교황이 그를 페루 북서부 도시 치클라요의 주교로 임명했을 때에는 페루로 귀화했다. 주교가 현지 국적을 취득해야 한다는 페루와 바티칸 간 외교 협정을 따른 것이다. 교황으로서 바티칸 임시 시민권을 가진 그는 미국과 페루 국적을 갖고 있다.교황을 지켜본 사람은 그가 “도와야 할 사람이 있으면 장화를 신고 진흙탕을 헤쳐나가길 주저하지 않는 분”이라고 묘사했다. 비영리단체 카리타스 소속 하니나 세사는 교황이 2022년 치클라요 일대에 막대한 양의 비가 쏟아지자 피해 현장으로 뛰쳐나갔다고 ABC방송에 말했다.그는 식량과 모포 등을 실은 흰색 트럭을 몰고 안데스산맥 오지 마을들을 자주 찾았다고 한다. 가던 길에 트럭이 고장 나면 직접 고쳤으며, 마을 바닥에 얇은 매트리스만 깔고 잠을 청할 때도 있었다. 코로나19 감염자를 위한 산소 생산 시설 설치 자금을 모으기도 했다.아우구스티노회 수도자 알렉산더 램은 교황이 페루의 가난한 사람들과 가까이 지내면서 사회정의 구현과 환경 보호에 앞장서 현지인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1985년부터 페루·미국 오가며 복음 전파이탈리아어·프랑스어 등 5개 언어 유창임신중지·안락사 반대 등 정통 가톨릭 입장레오 14세 신임 교황이 8일(현지시간) 선출 직후 바티칸 성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AP연합뉴스8일(현지시간) 선출된 교황 레오 14세는 전임자인 프란치스코 교황처럼 ‘낮은 곳’을 자주 찾으며 성직 생활을 했다. ‘최초 북미 출신 교황’이라는 기록을 남기게 된 그는 20년 넘도록 남미 페루의 슬럼가, 오지 등에서 로마 가톨릭 복음을 전파했다.교황은 가톨릭의 한 조직인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아우구스티노회) 출신이다. 아우구스티노회는 4세기 북아프리카 히포의 주교였던 성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을 근본으로 여긴다. 그는 아우구스티노회 총장(2001~2013년)과 페루 치클라요 주교(2015~2023), 바티칸 주교성 장관(2023~2025) 등을 역임했다.교황은 1955년 9월14일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한 병원에서 태어났다. 교육자 아버지와 사서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아우구스티노 신학교에서 중등교육을 받았다. 학부에서 수학을 전공한 뒤 미국에서 가장 큰 가톨릭 신학대학원인 가톨릭신학연합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27세 때 사제 서품을 받았다.페루와의 인연은 1985년 그가 서부 피우라의 소도시 훌루카나스에 선교사로 파견되면서 시작됐다. 이후 2023년까지 페루와 미국을 오갔다. 2015년 프란치스코 교황이 그를 페루 북서부 도시 치클라요의 주교로 임명했을 때에는 페루로 귀화했다. 주교가 현지 국적을 취득해야 한다는 페루와 바티칸 간 외교 협정을 따른 것이다. 교황으로서 바티칸 임시 시민권을 가진 그는 미국과 페루 국적을 갖고 있다.교황을 지켜본 사람은 그가 “도와야 할 사람이 있으면 장화를 신고 진흙탕을 헤쳐나가길 주저하지 않는 분”이라고 묘사했다. 비영리단체 카리타스 소속 하니나 세사는 교황이 2022년 치클라요 일대에 막대한 양의 비가 쏟아지자 피해 현장으로 뛰쳐나갔다고 ABC방송에 말했다.그는 식량과 모포 등을 실은 흰색 트럭을 몰고 안데스산맥 오지 마을들을 자주 찾았다고 한다. 가던 길에 트럭이 고장 나면 직접 고쳤으며, 마을 바닥에 얇은 매트리스만 깔고 잠을 청할 때도 있었다. 코로나19 감염자를 위한 산소 생산 시설 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