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회원정보
로그인 회원가입
  • 질문답변
  • 질문답변

    CONTACT US 043)535-1980

    평일 09시 - 18시
    토,일,공휴일 휴무

    질문답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지구의 선택 <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5-07-10 04:24

    본문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지구의 선택 <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지구의 선택 <픽(Pick)>기후변화에 맞선다는 것. 때로는 막연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환경을 위한 작은 노력. 티끌같은 실천들이 모여 태산같은 변화를 이끌어냅니다. 정말 소소한 일상 속, 내 선택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비교해 드립니다. 궁금한 탄소배출량이 있다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카페에서 판매하는 아이스 아메리카노와 아이스 라떼. 김광우 기자.[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텀블러만 쓰면 되는 거 아녔어?”걷기조차 힘든 날씨. 시원한 음료로 더위를 달래려 카페를 찾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환경보호를 위해 텀블러를 챙기는 이들도 적지 않다.하지만 이들 또한 자각하지 못하는 게 있다. 어떤 음료를 마실지 고르는 것 또한 지구온난화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실제 카페에서 판매하는 음료 한 잔의 탄소배출량은 그 종류에 따라 최대 5배 이상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심지어 플라스틱 컵을 사용하더라도, 탄소배출량이 적은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게 환경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카페 일회용 컵 쓰레기.[헤럴드DB]헤럴드경제가 기후테크 기업 오후두시랩에 의뢰해 여름철 인기 카페 음료 10종을 소비하는 데 따른 탄소배출량을 측정한 결과, 음료 종류에 따른 탄소배출량 차이는 최대 5.5배까지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음료는 여름철 인기 메뉴 중 ▷커피류(아메리카노) ▷라떼류(라떼·바닐라라떼) ▷티류(녹차·복숭아아이스티) ▷주스류(수박·망고주스) ▷에이드류(레몬·자몽에이드) ▷스무디류(망고·딸기바나나스무디) 등으로 구성됐다. 탄소배출량에는 원재료 생산과 제조 과정 등이 포함됐다.카페 음료 탄소배출량.[오후두시랩 제공]가장 환경에 나쁜 음료로 선정된 것은 ‘라테(Latte)’ 종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스 바닐라라테는 한 잔에 440g의 탄소를 배출해, 10종 가운데 수치가 가장 높았다. 여기에서 바닐라시럽이 빠진 아이스 라테의 탄소배출량은 426g으로 2위를 차지했다. 가장 낮았던 복숭아아이스티(79g)와 비교했을 때 5배 이상 높은 셈이다.라테가 불명예를 차지한 원인은 ‘원재료’에 있다. 우선 라테 한 잔에 들어가는 에스프레소(2샷), 이를 생산하기 위해 나오는 탄소량은 151g으로 적지 않다. 커피는 생산 과정에서 농지 개간, 비료 사용 등이 필요해 지속적으로 탄소를 배출한다. 더구나 열대지역에서 생산되는 탓에, 먼 거리까지 이송하는 데 배출되는 탄소량이 상당하다.아이스 라테.[게티이미지뱅크[하지만 커피 원두보다 더 큰 차이를 유발하는 것이 있다. 바로 ‘우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지구의 선택 <픽(Pick)>기후변화에 맞선다는 것. 때로는 막연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환경을 위한 작은 노력. 티끌같은 실천들이 모여 태산같은 변화를 이끌어냅니다. 정말 소소한 일상 속, 내 선택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비교해 드립니다. 궁금한 탄소배출량이 있다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카페에서 판매하는 아이스 아메리카노와 아이스 라떼. 김광우 기자.[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텀블러만 쓰면 되는 거 아녔어?”걷기조차 힘든 날씨. 시원한 음료로 더위를 달래려 카페를 찾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환경보호를 위해 텀블러를 챙기는 이들도 적지 않다.하지만 이들 또한 자각하지 못하는 게 있다. 어떤 음료를 마실지 고르는 것 또한 지구온난화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실제 카페에서 판매하는 음료 한 잔의 탄소배출량은 그 종류에 따라 최대 5배 이상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심지어 플라스틱 컵을 사용하더라도, 탄소배출량이 적은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게 환경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카페 일회용 컵 쓰레기.[헤럴드DB]헤럴드경제가 기후테크 기업 오후두시랩에 의뢰해 여름철 인기 카페 음료 10종을 소비하는 데 따른 탄소배출량을 측정한 결과, 음료 종류에 따른 탄소배출량 차이는 최대 5.5배까지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음료는 여름철 인기 메뉴 중 ▷커피류(아메리카노) ▷라떼류(라떼·바닐라라떼) ▷티류(녹차·복숭아아이스티) ▷주스류(수박·망고주스) ▷에이드류(레몬·자몽에이드) ▷스무디류(망고·딸기바나나스무디) 등으로 구성됐다. 탄소배출량에는 원재료 생산과 제조 과정 등이 포함됐다.카페 음료 탄소배출량.[오후두시랩 제공]가장 환경에 나쁜 음료로 선정된 것은 ‘라테(Latte)’ 종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스 바닐라라테는 한 잔에 440g의 탄소를 배출해, 10종 가운데 수치가 가장 높았다. 여기에서 바닐라시럽이 빠진 아이스 라테의 탄소배출량은 426g으로 2위를 차지했다. 가장 낮았던 복숭아아이스티(79g)와 비교했을 때 5배 이상 높은 셈이다.라테가 불명예를 차지한 원인은 ‘원재료’에 있다. 우선 라테 한 잔에 들어가는 에스프레소(2샷), 이를 생산하기 위해 나오는 탄소량은 151g으로 적지 않다. 커피는 생산 과정에서 농지 개간, 비료 사용 등이 필요해 지속적으로 탄소를 배출한다. 더구나 열대지역에서 생산되는 탓에, 먼 거리까지 이송하는 데 배출되는 탄소량이 상당하다.아이스 라테.[게티이미지뱅크[하지만 커피 원두보다 더 큰 차이를 유발하는 것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지구의 선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